top of page

 

연구과제 (최근 5년간)

  • 침샘유래 살충성 및 기능성 물질보유 노린재목 곤충자원 조사. 농촌진흥청

  • 미국선녀벌레의 이동경로 및 이동양상 추정을 위한 유전자 마커 개발 및 생태유전학적 연구. 농림축산식품부

  • 빈대하목(노린재목)의 진화적 흐름을 중심으로 한 생물계통학적 연구(2년차/3년차). 교육과학기술부

  • 수출단지에서 검출되는 해충의 분자생물학적 동정기법 개발. 농림축산식품부

  • 빈대하목(노린재목)의 진화적 흐름을 중심으로 한 생물계통학적 연구(3차년도/3년과제). 교육부

  • 국가 생물종 국명 부여 지침 제정. 환경부

  • 국가 생물종 목록집 발간 연구(노린재목 1). 국립생물자원관, 환경부

  • 국가 생물종 목록집 발간 연구(곤충분야 Ⅱ). 국립생물자원관, 환경부

  • 식물검역시 주요 노린재 해충에 대한 DNA 바코드 확보 및 진단체계 구축. 농림축산식품부

  • DNA barcode를 이용한 식물검역해충 유입 차단 시스템 확립(2차). 농림축산식품부

  • DNA barcode를 이용한 식물검역해충 유입 차단 시스템 확립(3차). 농림축산식품부

  • 국립공원 생물자원조사(주간곤충), 2020-2022, 2024. 국립공원연구원, 국립공원관리공단

  • 해외생물자원 발굴 및 분류. 국립생물자원관, 환경부

  • 자생생물 조사,발굴 연구-곤충분야. 국립생물자원관, 환경부

  • 자생생물 조사,발굴 연구-무척추동물(곤충제외). 국립생물자원관, 환경부

  • 국유림내 화분매개곤충의 다양성 및 밀원수목의 계절 연계성 평가. 한국임업진흥원, 산림청

  • 생활권 주요 수목의 노린재목 해충 피해 및 생태특성 조사.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청

  • 계통유전체학 도입을 통한 곤충의 기주식물 적응 진화 해석. 한국연구재단, 교육부

  • 생물다양성 관리기관 통합정보체계 구축(곤충표본관). 국립생물자원관, 환경부

  • 소면적 작물에 발생하는 병해충의 진단 및 공동시험포장의 단지화, 2019-2023. 농촌진흥청

  • 무궁화 품종 특성에 따른 목화진딧물의 연중 발생동향 분석. 국립산림과학원

  • 장미과와 흡즙성 진딧물류와의 상호관계 연구. 국립수목원, 산림청

  • 아열대 외래 해충 발생 및 생태특성 조사.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청

  • Surveys in Korea to Support Host Range Evaluation Reserch on Brown Marmorated Stink Bug and Spotted Wing Drosophila.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ARS)

  • Exploration for Native Parasitoids of Asian Longhorned Beetle in South Korea.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ARS), USA.

  • Biological Control of Invasive Asian Longhorned Beetle.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ARS), USA.
    Preemptive Biological Control of a High-Risk Invasive Longhorn Beetle.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ARS), USA.

  • Pre-invasion assessment of Asian wood borers by sentinel gardens of American trees in South Korea. University of Florida, USA.

  • Evaluating biological methods for control of spotted lanternfly and roseau cane scale in South Korea. Animal and Plant Hearth Inspection Service (APHIS), USA.

다운로드.png

서울대학교 곤충계통분류학연구실

정사각 로고.png
bottom of page